신차 구매 후 5년이 경과하였다면 자동차 환급금이 있을 수 있다. 자동차 환급금은 지역별로 지정은행을 내방하거나 인터넷 또는 모바일앱을 통해 조회가 가능하다. 자동차 환급금에 대해 알아보고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자동차 환급금이란?
신차 구매 후 5년 이상 차를 유지 중에 있나요? 그럼 자동차 환급금이 있을 수 있다.
지역개발채권과 도시철도채권
차를 구매 후 차량을 등록할 경우 의무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을 매입해야 한다. 지역개발채권은 지역민의 복리 증진 및 지역개발사업 자금 조달을 위해 지자체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차량 구매 시 구매한 차량의 배기량과 등록지역에 따라 지역개발채권 또는 도시철도채권을 구매하여야 한다.
- 지역개발채권: 서울을 제외한 16개 시, 도에서 발행하는 채권으로 5년 만기 일시상환 시효 10년짜리 채권
- 도시철도채권: 서울, 부산, 대구에서 발행하는 7년 만기 일시상환 시효 5년짜리 채권
신차 구매 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위의 지역개발채권 및 도시철도채권은 차량 구매 후 등록 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한다. 즉, 차량가액이 예를 들어 2,000만 원인 경우 2,000만 원에서 일정 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역개발채권 또는 도시철도채권 명목으로 구매해야 한다는 것으로 서울의 경우 12%에 해당하는 금액을 매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약 240만 원의 채권을 매입해야 한다.
자동차 채권 환급
앞서 이야기한 지역개발 채권의 만기는 5~7년으로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환급받게 된다. 행정안전부에 의하면 매년 채권자가 환급 신청을 하지 않는 금액이 2,300억 원에 달하고, 소멸시효가 경과해서 사라지는 채권도 매년 20억 정도라고 한다. 이는 차량 구매 후 5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면 채권자가 채권의 소유여부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동차 채권 환급 제도 개선
22년 3월부터 신규 매입하는 지역개밥채권의 경우 만료일에 채권자에게 자동 입금되도록 제도가 개선되었다. 채권자가 채권 매입 시 자동상환을 신청할 수 있으며, 자치단체는 문자를 통해 자동차 채권 환급금을 고지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채권 보유자는 직접 환급금을 조회 후 신청하여야 한다.
채권의 조회 및 신청방법은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있다.
- 오프라인 신청: 은행 내방 (신분증 지참)
- 온라인 신청: 은행 모바일앱 및 홈페이지
구분 | 오프라인 신청 | 온라인신청 | 로그인 방법 | |
---|---|---|---|---|
인터넷 | 모바일 | |||
서울 | 신한은행 | X | O | 공동인증서 |
부산 | 부산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대구 | 대구은행 | X | X | 프로그램 개발 중 |
인천 | 신한은행 | X | O | 공동인증서 |
광주 | 광주은행 | O | roqkf wnd | 공동인증서 |
대전 | 하나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울산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세종 | 하나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경기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강원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충북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충남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전북 | 전북은행 | O | 개발 중 | 공동인증서 |
전남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경북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경남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제주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창원 | 농협은행 | O | O | 공동인증서 |
즉시매도를 통한 공채할인
차량 등록 시 채권을 공채할인을 통한 즉시매도를 하는 사람도 많다. 차량 구매 시 취등록세와 채권매입에 대한 비용까지 생각하면 여간 큰 금액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금융사에 일정 할인율을 적용해서 구매한 지역개발채권을 즉시 매도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공채할인이라고 한다.
자동차 환급금을 조사해 봤는데 환급금이 조회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경우 공채할인을 통해 채권을 매도해 버렸기 때문이다.
차량 구입 후 취등록 시 지역개발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한다. 만약 지역개발채권을 매입 후 공채할인을 통한 즉시매도를 하지 않았다면 5년 뒤 자동차환급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기 바란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07.13 - [생활정보] - 2023년 7월 세금납부 무이자 할부 안내(이벤트 포함) |
---|
2023.06.29 - [생활정보] - 자동차세 납부와 연납신청(6월 납부) |
2023.06.20 - [생활정보] - 한전 에너지캐시백 증액/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기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로밍 요금제(baro요금제) 및 로밍 가족 결합 프로모션 안내 (1) | 2023.07.17 |
---|---|
폭우 시 대처방법 (반드시 숙지합시다) (0) | 2023.07.16 |
테슬라 모델 Y 주문대란 (0) | 2023.07.15 |
항공기 비상구좌석 소방관·경찰·군인 우선배정 (0) | 2023.07.15 |
소상공인 냉난방기 교체 및 냉장고 문달기 지원 안내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