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는 슈퍼문이 두 번 발생한다고 한다. 슈퍼문이 발생되는 날짜와 왜 슈퍼문이 왜 일어나는지 알아본다. 또한, 슈퍼문에 대한 알지 못했던 이야기를 해보자
슈퍼문의 유래
슈퍼문이라고 들어봤나요?
슈퍼문은 공식적인 천문학 용어는 아니다. 슈퍼문은 1979년 미국의 점성가인 리처드 놀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슈퍼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달이 주어진 궤도상 지구에서 가장 가까울 때를 기준으로 90% 이내에 위치할 때 뜨는 보름달을 슈퍼문이라 한다.
달이 공전궤도상 지구에서 가장 가까울 때 뜨는 보름달은 평소보다 크게 보이기 때문에 슈퍼문이라고 한 것 같다. 반대로, 달이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뜨는 보름달을 미니문이라고 한다.
슈퍼문은 미니문에 비해 최대 14% 더 크고, 최대 30% 더 밝다고 한다.
슈퍼문 발생 원인
슈퍼문의 발생원인은 리처드 놀의 정의에서 알 수 있는데, 달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달은 지구와 일정한 거리에 있지 않게 되는 데 달이 지구에서 가장 멀 때의 거리는 40만 5,504 km이고 가장 가까울 때는 36만 3,396 km이다. 따라서 앞의 리처드 놀이 정의 내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울 때 기준으로 90% 이내이면 달이 지구와 36만 7,607km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8월 슈퍼문 날짜
달의 공전에 의해 보름달이 슈퍼문이 되었다가 미니문이 되었다가 한다. 8월에는 두 번의 슈퍼문의 뜬다고 한다. 그리고 9월 추석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마지막 슈퍼문이라고 한다.
8월 1일과 8월 30일이 슈퍼문이 뜨는 날인데 8월 30일에 뜨는 슈퍼문은 올해 최대 슈퍼문이라고 한다. 8월 30일에는 지구와 달의 위치가 약 36만 7,344 km에 위치한다고 한다. 하지만 환경에 따라서 맨눈으로 보기에는 슈퍼문이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고 한다.
달과 지구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지더라도 달이 크게 보이는 데는 지구 대기 상태나 주관적인 부분도 작용하기 때문에 맨 눈으로 특별한 차이를 못 느낄 수도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8월 31일 슈퍼
8월 31일에는 조금 더 큰 슈퍼문을 볼 수 있다. 31일 슈퍼문이 뜰 때에는 지구와 달의 거리가 35만7344km로 올해 뜨는 보름달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깝다고 한다. 31일 오전 10시 36분께 가장 지구와 가까워지기 때문에 31일 새벽부터는 평소보다 큰 보름달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슈퍼문
- 슈퍼문: 미국의 점성가 리처드 놀에 의해 정의됨. 공식 천문학용어는 아님
- 발생원인: 달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
- 8월 발생일: 8월 1일, 30일(올해 최대 슈퍼문)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07.17 - [뉴스시사] - 오송 지하차도 침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지자체 늦장대응 논란) |
---|
2023.07.16 - [생활정보] - 폭우 시 대처방법 (반드시 숙지합시다) |
2023.06.20 - [생활정보] - 한전 에너지캐시백 증액/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기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아이와 함께 가볼만한 곳(제주항공우주박물관 8월 행사 안내) (0) | 2023.07.31 |
---|---|
모바일 세관신고 운영 확대 (1) | 2023.07.30 |
정남진 장흥 물축제 행사장 위치, 주차장 위치, 요금 등 안내 (0) | 2023.07.28 |
2023 서울썸머비치 운영시간, 위치, 준비물 안내 (0) | 2023.07.27 |
해외여행 면세한도 알아보자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