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태풍 카눈 경로변경(상하이가 아닌 '서해안'으로?)

by 상생재테크뉴스 2023. 7. 31.

태풍-카눈-경로-변경
태풍 카눈 경로 변경

 

제6호 태풍 카눈이 진로를 동쪽으로 살짝 틀었다고 한다. 이에 중국이 아닌 일본과 한반도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드는 상황이다. 카눈의 경로 변경과 현재까지의 카눈의 이동속도 및 강도에 대해 알아본다.

 

 

카눈 경로 변경

중국 상하이를 향하던 제6호 태풍 카눈이 경로를 살짝 변경했다.

카눈(Khanun)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태국의 열대과일 카눈(잭 프루트)을 의미한다.

 

30일 발표한 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제6호 태풍 카눈은 일본 오키나와 인근을 지나 중국 상하이 앞바다 쪽에서 중국 내륙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하였지만 금일(31일) 발표된 자료에서는 카눈은 일본 오키나와에서 약간 북상한 후 중국 상하이 앞바다 쪽에서 정체하면서 북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이동 경로가 조정되었다.

 

태풍-이동경로-변화
태풍 이동경로 변화(출처: 기상청)

 

카눈 이동속도

태풍의 이동속도는 30일에는 시속 10km 이상이었으나 오늘은 시속 5km 정도로 더욱 느려졌다고 한다.

열대 태평양과 동아시아 부근의 기압계의 상황과 위성영상으로 볼 수 있는 태풍의 실제 상황을 비교하면서 태풍의 이동 경로를 예측해야 되는 상항이라고 한다. 그만큼 태풍의 이동경로에 대한 예측이 현재로서는 어렵다고 한다.

변경된 경로로 쭉 진행할 경우 서해안에 붙거나 한반도에 상륙할 가능성이 있어 기상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66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19km로 북서진 중이다. 중심 기압은 955 hPa, 최대풍속은 초속 40m(시속 144km), 강풍반경은 400km나 된다.

 

카눈 강도

강도는 '강'까지 성장했는데 강도분류상 '열차 탈선;의 위력이다. 이 태풍은 8월 1일 오전 중 '매우 강' 수준으로 성장할 예정이다. 이 경우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수 있는 위력이 된다.

 

태풍의 강도분류
구분 최대풍속 현상
- 17m/s 이상 ~ 25m/s 미만 간판 날아감
25m/s 이상 ~ 33m/s 미만 지붕 날아감
33m/s 이상 ~ 44m/s 미만 기차 탈선
매우강 44m/s 이상 ~ 54m/s 미만 사람, 커다란 돌 날아감
초강력 54m/s 이상 건물 붕괴

 

카눈-통보문
카눈 통보문(출처: 기상청)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관계자는 "카눈이 이후 북진할지, 좀 더 서쪽으로 치우치면서 중국으로 향할지는 좀 더 시일이 지나야 알 수 있다"라고 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앞으로 태풍의 이동속도가 더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며, 태풍의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의 영향 정도에 따라 태풍 경로가 변동되겠다"라고 했다.

 

카눈의 북상 이동 진로는 아직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다. 경로의 변동성이 아직 크다. 기상청 관계자는 "(수치예보 모델상) 태풍의 향후 예상 이동 경로의 변동성은 중국 상해부터 일본 규슈 남쪽 해상까지 매우 넓게 예측된다"면서 더욱 면밀한 분석을 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기상청은 8월 1일 오전 수시 브리핑(보고)을 통해서 국내 영향 가능성을 밝힐 전망이다.

 

 

 

제6호 태풍 카눈의 이동경로 예측에는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카눈이 한반도를 통과할 가능성이 없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상청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